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draft] CentOS 7에서 로케일과 문자셋 변경하는 방법

CentOS 7에서 로케일(Locale)과 문자셋(Charset) 변경하는 방법

1. 현재 로케일 상태 확인

localectl 명령으로 확인

localectl status

현재 로케일 출력

locale
LANG=en_US.UTF-8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LC_IDENTIFICATION="en_US.UTF-8"
LC_ALL=

설정 파일 확인

cat /etc/locale.conf
LANG="en_US.UTF-8"

2. 사용 가능한 로케일 목록 조회

사용 가능한 로케일 목록 확인

localectl list-locales

한국어 로케일만 필터링

localectl list-locales | grep -i ko_kr
ko_KR
ko_KR.euckr
ko_KR.utf8

또는

locale -a | grep -i ko_kr
ko_KR
ko_KR.euckr
ko_KR.utf8

3. 로케일 변경

명령어 실행

sudo localectl set-locale LANG=<로케일>

ko_KR.euckr 로케일로 변경(설정)

sudo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euckr

변경된 설정 확인

localectl
   System Locale: LANG=ko_KR.euckr
       VC Keymap: us
      X11 Layout: us

설정 파일 직접 확인

cat /etc/locale.conf
#LANG="en_US.UTF-8"
LANG="ko_KR.euckr"

4. 설정 적용

로케일 변경은 로그인 세션이나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주므로 시스템 재부팅 후 적용을 권장합니다.

sudo reboot

5. 로케일 및 문자셋 적용 확인

재부팅 후 아래 명령으로 확인합니다.

locale
LANG=ko_KR.euckr
LC_CTYPE="ko_KR.euckr"
문자셋(Charset)도 로케일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즉, ko_KR.euckr 로케일을 지정하면 EUC-KR 인코딩이, ko_KR.utf8을 지정하면 UTF-8 인코딩이 함께 적용됩니다.

참고

UTF-8 인코딩(ko_KR.utf8)은 한글뿐 아니라 다국어 환경에도 안정적이며,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호환성이 높습니다.

EUC-KR(ko_KR.euckr)은 레거시 시스템 호환 목적이 아니라면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