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draft] SLB와 DSR의 개념, 차이점 및 사용 사례 SLB(Server Load Balancing)와 DSR(Direct Server Return)의 개념, 차이점 및 사용 사례SLB와 DSR은 서버 로드 밸런싱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입니다. SLB는 로드 밸런서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이고, DSR은 로드 밸런서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입니다.SLB, DSR 다이어그램SLB(Server Load Balancing) 다이어그램DSR(Direct Server Return) 다이어그램SLB(Server Load Balancing)의 개념SLB는 여러 개의 서버를 하나의 논리적인 서버로 구성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각 서버로 분산하는 방식입니다. SLB는 클라.. 더보기
[draft] 우분투 22.04에서 rc-local(rc.local)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우분투 22.04에서 rc-local(rc.local)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우분투 22.04는 rc.local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systemd를 사용하는 서비스와 유닛 파일로 대체되었습니다.테스트 환경$ lsb_release -dDescription: Ubuntu 22.04.2 LTSrc-local 서비스 활성화1. rc-local 서비스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rc-local.service$ systemctl status rc-local.service○ rc-local.service - /etc/rc.local Compatibility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rc-local.service; static) Drop-I.. 더보기
[draft] CentOS 7에서 rc-local(rc.local)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CentOS 7에서 rc-local(rc.local)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CentOS 7에서는 rc.local 스크립트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이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rc.local 스크립트는 시스템 부팅 시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입니다.테스트 환경운영체제 버전 정보 확인$ cat /etc/redhat-releaseCentOS Linux release 7.9.2009 (Core)rc.local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rc-local.service● rc-local.service - /etc/rc.d/rc.local Compatibility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 더보기
[draft] 원도우 10 제품 키 조회(시리얼 번호 조회) 원도우 10 제품 키 조회(시리얼 번호 조회)cmd >>reg query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SoftwareProtectionPlatform" /v BackupProductKeyDefaultWindows 정품 인증원도우11 제품 키 조회(시리얼 번호 조회)cmd >>wmic path softwarelicensingservice get oa3xoriginalproductkey 더보기
[draft] CentOS 7에서 HAProxy를 설치하고 구성하는 방법 CentOS 7에서 HAProxy를 설치하고 구성하는 방법다이어그램(diagram)1. HAProxy 설치HAProxy를 설치합니다.sudo yum install -y haproxy$ haproxy -vHA-Proxy version 1.5.18 2016/05/10Copyright 2000-2016 Willy Tarreau 2. HAProxy 구성 파일 편집/etc/haproxy/haproxy.cfg 파일을 편집하여 로드 밸런서를 구성합니다. haproxy.cfg 편집(default)$ cat /etc/haproxy/haproxy.cfg#---------------------------------------------------------------------# Example configuration fo.. 더보기
[draft] 우분투 22.04에서 OpenSSL을 설치하는 방법 우분투 22.04에서 OpenSSL을 설치하는 방법(openssl-1.1.1)테스트 환경$ lsb_release -aNo LSB modules are available.Distributor ID: UbuntuDescription: Ubuntu 22.04 LTSRelease: 22.04Codename: jammy$ openssl versionOpenSSL 3.0.2 15 Mar 2022 (Library: OpenSSL 3.0.2 15 Mar 2022)필수 빌드 도구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build-essential checkinstall zlib1g-devopenssl 패키지 다운로드 및 체크섬 확인OpenSSL : https://www.openssl.org/s.. 더보기
[draft] paste 명령어 paste 명령어paste 명령어는 두 개 이상의 파일 또는 텍스트를 가로로 병합하여 출력하는 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여러 파일이나 텍스트 스트림을 하나의 파일 또는 스트림으로 연결하거나 병합할 수 있습니다. 주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합치는데 사용되며, 파일을 열고 닫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기본 구문paste [옵션] 파일1 파일2 ...여기서 "[옵션]"은 명령어 실행 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나타내며, "파일1", "파일2", ... 등은 병합하려는 파일들의 이름 또는 경로입니다. 주요 옵션-d 옵션:사용법: paste -d DELIMITERDELIMITER로 지정한 문자열을 사용하여 필드(열)를 구분합니다.-s 옵션:사용법: p.. 더보기
[draft] 클라우드 취약점 점검 가이드(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클라우드 취약점 점검 가이드(KISA, 한국인터넷진흥원)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클라우드보안인증제 > 자료실▶ 제목클라우드 취약점 점검 가이드 ▶ 목적 및 활용 본 가이드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 담당자 및 클라우드 담당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CCE 취약점에 대한 기술적 보안가이드를 제공합니다.전체 21종의 보안 가이드를 제공하며, 각각은 진단항목, 항목설명, 진단기준, 진단방법, 조치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위한 담당자 및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수준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정보보호 담당자 등이 취약점 보안조치 관련하여 본 가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본 가이드는 클라우드 인증 심사 시 취약점 점검(CCE) 평가 항목별 점검 기준 및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발간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