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draft] tee 명령어 tee 명령어tee 명령어는 리눅스나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로 표준 입력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여러 개의 출력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특히 파일과 표준 출력 모두에 출력할 수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표준출력(stdout)을 화면과 파일로 동시에 출력하는 리눅스 명령어)기본적인 구문[입력 명령어] | tee [옵션] 파일명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입력 명령어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 파일명에 지정한 파일과 표준 출력으로 출력합니다. 만약 출력 파일명이 지정되지 않으면 tee 명령어는 표준 출력으로만 결과를 출력합니다. 출력 파일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tee 명령어는 해당 파일을 덮어쓰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고자 한다면 -a 옵션을 사용하여 이어쓰기 모드로 파일에 출력할 수 있.. 더보기
[draft] tee 명령어 tee 명령어1. sudo tee -a 사용(권장)cat /dev/null# Add parameter for WebServer* soft nofile 65535* hard nofile 65535* soft nproc unlimited* hard nproc unlimitedEOF2. 직접 파일 수정sudo cat > /etc/security/limits.conf# Add parameter for WebServer* soft nofile 65535* .. 더보기
[draft] 리눅스에서 SSH 액세스 권한 부여하기 리눅스에서 SSH 액세스 권한 부여하기SSH 접속을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 제한하는 것은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액세스 허용/거부 설정AllowUsers : 지정된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합니다.DenyUsers : 지정된 사용자의 접속을 거부합니다.AllowGroups : 지정된 그룹에 속한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합니다.DenyGroups : 지정된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접속을 거부합니다.1. SSH 액세스 허용/거부 설정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한 SSH 액세스 허용sshd_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 SSH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습니다.vim /etc/ssh/sshd_config특정 사용자 허용(AllowUsers 지시자 추가)user1과 user2만 SSH로 로그인할 .. 더보기
[draft] SSH 공개 키를 복사하는 스크립트 SSH 공개 키를 복사하는 스크립트ssh-copy-id 명령어를 사용하여 공개 키를 복사ssh-copy-id vagrant@172.19.0.11sshpass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한 줄로 패스워드를 입력echo "your_password" | sshpass -p your_password ssh-copy-id vagrant@172.19.0.11스크립트 작성vim copy_ssh_keys.sh#!/bin/bash# 서버 목록server_list=("172.19.0.11" "172.19.0.12" "172.19.0.13" "172.19.0.14" "172.19.0.15")#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user_name="vagrant"user_password="vagrant"# sshpass 설치 확인if ! com.. 더보기
[draft] 우분투에서 IPv6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IPv6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임시로 비활성화하기시스템을 다시 부팅하면 IPv6가 다시 활성화됩니다. IPv6를 임시로 비활성화sudo sysctl -w net.ipv6.conf.all.disable_ipv6=1sudo sysctl -w 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1이렇게 하면 현재 세션에서만 IPv6가 비활성화됩니다.영구적으로 비활성화하기시스템을 다시 부팅해도 IPv6가 비활성화됩니다. /etc/sysctl.conf 파일을 편집sudo vim /etc/sysctl.conf파일의 맨 끝에 다음 라인을 추가합니다.net.ipv6.conf.all.disable_ipv6 = 1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 = 1변경 사항을 적용하기 위.. 더보기
[draft] AWS EC2 인스턴스(T3, T3a, T4g) 간에 몇 가지 차이점 AWS EC2 인스턴스(T3, T3a, T4g) 간에 몇 가지 차이점인스턴스 차이점CPU 성능: T3와 T3a는 인텔의 Xeon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며, T4g는 AWS가 설계한 Graviton2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합니다. T4g는 T3 및 T3a보다 대부분의 작업에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메모리: T3 인스턴스는 최대 32GB의 메모리를 제공하며, T3a는 최대 64GB의 메모리를 제공합니다. T4g는 최대 256GB의 메모리를 제공합니다.네트워크: T4g는 25Gbps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공하며, T3 및 T3a는 5Gbps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가격: T3와 T3a는 T4g보다 더 저렴합니다. 하지만 T4g는 그래픽 처리나 AI 등의 높은 성능이 필요한 작업에서 더 효.. 더보기
[draft] 우분투에서 pacemaker, corosync, pcs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pacemaker, corosync, pcs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1. Pacemaker 클러스터 중지클러스터 서비스를 중지합니다.sudo pcs cluster stop --all$ sudo pcs cluster stop --all192.168.56.212: Stopping Cluster (pacemaker)...192.168.56.211: Stopping Cluster (pacemaker)...192.168.56.212: Stopping Cluster (corosync)...192.168.56.211: Stopping Cluster (corosync)...2. Pacemaker 클러스터 비활성화클러스터를 비활성화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sudo pcs cluster .. 더보기
[draft] 우분투에서 Pacemaker와 Corosync를 사용해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Pacemaker와 Corosync를 사용하여 3대의 서버로 구성된 고가용성(HA)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방법Pacemaker와 Corosync을 사용하여 HA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은 복잡한 프로세스일 수 있습니다. Pacemaker를 사용하여 VIP(가상 IP)와 노드 간 HA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간략한 개요를 제공합니다.테스트 환경호스트 이름서버 아이피 주소도메인 이름운영체제 버전비고VIP192.168.0.120vip.cluster.local server1192.168.0.121server1.cluster.localUbuntu 22.04.3 LTS server2192.168.0.122server2.cluster.localUbuntu 22.04.3 LTS server3192.1.. 더보기